2022년 5월 5일은 어린이날 10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가정의 달의 시작!! 어린이날의 탄생 및 유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어린이날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지금으로부터 백 년 전까지만 해도 어린이들은 존중받지 못하고
어리다는 이유로 학대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선진국들도 다를 바 없었답니다. 그래서 산업혁명 시기에 아이들이 푼돈을 받으면서
공장에서 12시간이 넘도록 일도 하곤 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걸 느끼고 바꿔야 한다고 느낀 사람이 방정환 선생님이십니다.
방정환 선생님은 아동문학가이자 아동보호 운동의 선구자이기도 하십니다.
어린이날의 탄생 유래
우리의 아픈역사 일제 강점기인 1923년에 방정환 선생님은 색동회를 만드셨습니다.
민족의 미래를 이끌고 갈 아이들이 민족의식을 가지고 자라가 길 원하셨던 겁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문화 운동 단체인 색동회는 "어린이"라는 잡지를 내놓았고엄청난 인기를 누렸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엔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해서 기념행사를 했다고 합니다.
기념행사 표어 "희망을 살리자, 내일을 살리자, 잘살려면 어린이를 위하라”
아이들을 너무나 사랑했던 방정환 선생님
운동가들은 “어린이들을 욕하지 말고, 때리지 말고, 부리지 말자” 이렇게
정말 충격적 이게도 이런 구호를 외쳤다고 합니다.
그만큼 그 당시에 상황이 얼마나 처참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923년 5월 1일 제1회 어린이날 행사 때
이 전단지의 선언문은 국제연맹의 국제 아동 권리 선언보다
1년이나 빠른 아동 인권 선언이라고 합니다.
더구나 일본의 감시와 방해 속에서 이뤄진 아동의 권리 선언이었는데..
방정환 선생님이 얼마나 어린이를 사랑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린이"라는 이름의 탄생
예전 이름은 ‘아동’이었다고 합니다. 아동이라는 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신체적, 지적으로 미성숙한 단계에 있는 사람’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아래와 같이 자기 아이를
딸년, 아들놈, 애새끼, 아해 놈이렇게 부르니 젊은 사람은 젊은이
늙은 사람은 늙은이라고 부르니 어린 아이들은 “어린+이”로 어린이라는 단어를 방정환 선생님이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한 거였습니다.
어린이날 날짜는 어린이날에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5월 첫째 주 일요일로 변경되었다가 해방 후 다시 5월 5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ucVE/btrA2BrWMnS/VgciROFB85HwwYXKmBvhb0/img.jpg)
방정환 선생님의 호 ‘소파’ 의미
잔잔한 물결처럼
천천히 어린이에 대한 인식을 바꾸겠다는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방정환 선생님의 수고가 벌써 100주년입니다.
또 다른 방식의 독립운동을 하신 방정환 선생님을 기려봅니다.
독립을 향한 또 다른 함성.. 그리고 어린이를 정말 사랑했던 방정환 선생님의
그 마인드가 1차적으로는 우리 부모님께, 그리고 모든 어른들에게 넘치면 좋겠습니다.
'일상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개월만에 제주.양양 외국인 무비자입국허용 (0) | 2022.05.05 |
---|---|
어버이날 카네이션의 유래와 의미(건강을 비는 사랑) (0) | 2022.05.04 |
"초단기 근로자들 월 1000만원은 번다고?" (0) | 2022.05.03 |
'범죄도시2' 베트남으로 간 형사.. 5월 대박 흥행 예감 (0) | 2022.05.02 |
몇년만에 개장인가~!! 함평 나비 대축제ㅎㅎ (0) | 2022.05.01 |
댓글